본문 바로가기


카카오 고객센터 본문

도움말 검색 결과 (총 1,933건)

정렬 기준

카테고리 선택

도움말 검색 결과

  • [카카오톡 지갑][전자증명서][공통]

    어떤 기관에 증명서를 제출할 수 있나요?

    시군구청강원도강원도, 강원도 강릉, 강원도 고성, 강원도 동해, 강원도 삼척, 강원도 속초, 강원도 양구, 강원도 양양, 강원도 영월, 강원도 원주, 강원도 인제,강원도 정선, 강원도 철원, 강원도 춘천, 강원도 태백, 강원도 평창, 강원도 홍천, 강원도 화천, 강원도 횡성경기도경기도, 경기도 가평, 경기도 고양, 경기도거창, 경상남도 고성, 경상남도 김해, 경상남도 남해, 경상남도 밀양, 경상남도 사천, 경상남도 산청, 경상남도 양산, 경상남도 의령, 경상남도 진주, 경상남도 창녕영덕, 경상북도 영양, 경상북도 영주, 경상북도 영천, 경상북도 예천, 경상북도 울릉, 경상북도 울진, 경상북도 의성, 경상북도 청도, 경상북도 청송, 경상북도 칠곡, 전라남도 강진, 전라남도 고흥, 전라남도 곡성, 전라남도 광양, 전라남도 구례, 전라남도 나주, 전라남도 담양, 전라남도 목포, 전라남도 무안, 전라남도 보성,

  • [카카오홈][사용 오류][공통]

    에어컨 조작 온도, 모드 상태가 바뀌지 않아요.

    IR리모컨의 특성상 헤이홈이나 아씨오에어 리모컨 허브를 통하지 않고 댁 내 에어컨 리모컨으로 조작/변경된 정보는 카카오홈 앱에 반영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댁 내 에어컨 리모컨으로 조작된 정보가 카카오홈앱의 정보(온도, 모드 상태)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뉴스봇][기능 사용]

    뉴스 브리핑 정보카드 중 날씨 카드의 설정 위치를 바꾸고 싶어요.

    중복되는 지역명이라면 //구도 함께 입력해 원하는 지역을 설정해보세요. 위치를 설정하지 않으면 '서울특별'의 날씨가 기본으로 노출됩니다. 

  • [카카오맵][트렌드 랭킹][Android]

    다른 지역을 확인해 보고 싶어요.

    경기 성남 분당구 삼평동) 까지 자유롭게 변경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위 지역을 제외하고는 ,,구 (ex. 강원 강릉) 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카카오맵][트렌드 랭킹][iOS]

    다른 지역을 확인해 보고 싶어요.

    경기 성남 분당구 삼평동) 까지 자유롭게 변경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위 지역을 제외하고는 ,,구 (ex. 강원 강릉) 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브랜드검색 광고][가입 및 기본사항][광고 상품 안내]

    관공서(/도, /구)는 브랜드검색을 고정단가로 진행할 수 있나요?

    관공서(/도, /구) 광고주의 경우 별도 마련된 고정단가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광고계정명 예시) 서울시청, 인천광역교육청 등 정확한 관공서 명칭으로 기재 ▶ 브랜드검색 단가표 확인 바로가기(2022.4.18 적용 단가)

  • [카카오톡][프로필][iOS]

    '프로필 내 홈에 공유'를 비활성화 했는데 프로필 히스토리에서도 확인이 되지 않아요.

    '프로필 내 홈에 공유' 기능 비활성화 홈피드 뿐만 아니라 프로필 히스토리에서도 확인이 되지 않는 점 이용에 고 부탁드립니다.

  • [카카오톡][일반][안드로이드]

    뱃지 카운트를 없앨 수 있나요?

    .] > 우측상단 설정()버튼 > 알림> "앱 아이콘에 숫자 표시" ON/ OFF※ 해당 옵션 체크 해제 앱 아이콘에 숫자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능 사용 일부 런처에서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는 점 이용에 고 부탁드립니다.

  • [카카오톡][일반][안드로이드 (원스토어)]

    뱃지 카운트를 없앨 수 있나요?

    .] > 우측상단 설정()버튼 > 알림> "앱 아이콘에 숫자 표시" ON/ OFF※ 해당 옵션 체크 해제 앱 아이콘에 숫자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능 사용 일부 런처에서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는 점 이용에 고 부탁드립니다.

  • [이용자보호][공통][공통]

    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정보에 관한 정책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 정책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정보에 관한 정책'을 제167차 정책위원회 (21.4.15)에서 의결했습니다.현행법상 허위조작정보(가짜뉴스)의 처리에 관한 직접적인 법적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그동안 KISO는 ‘언론보도 형식의 허위 게시물 관련 정책’을 통해 일부 허위조작정보의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의 유행부터 현재 백신 관련한 이슈에 이르기까지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가 급증하여 인터넷 공간의 신뢰를 떨어뜨림에 따라 한적으로 해당정보를 자율적으로 규제할현재 허위조작정보는 정보통신에관한심의규정에 따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통해 처리되고 있다.이에 KISO 정책위원회는 코로나19와 관련한 허위조작정보와 관련하여 특별 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처리기준을 결정한다.